Computer Science/자료구조
이진 탐색 트리 : 검색, 삽입, 삭제 모두 O(logN)
데이터를 특정 항목을 기준으로 정렬하고 싶을 수 있습니다. 퀵 정렬 알고리즘과 같은 방법으로 정렬을 할 수 있겠지만 정렬에는 비용이 발생합니다. 또 정렬된 자료구조에서 데이터의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변경 때마다 정렬된 상태를 지키기 위해서 정렬 비용을 계속해서 지불해야만 합니다. 삽입과 삭제가 빠르면서도 정렬이 되어있는 자료구조가 있다면 어떨까요? 놀랍게도 그러한 자료구조가 존재합니다. 그게 바로 오늘 포스팅할 "트리"입니다. 1. 트리 (Tree)란? 트리는 노드 기반 자료 구조이면서 구성 요소인 각 노드는 여러 노드로의 링크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그 모습이 마치 나무를 연상시킨다 하여 트리라 명명하였습니다. 2. 트리의 고유 용어 트리 자료구조에는 트리에서만 사용하는 고유 용어가 존재합니다. 가장 ..
2023. 3. 24. 1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