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j] 1406. 에디터
- 문제 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406
- 사용 언어 : Node.js
1406번: 에디터
첫째 줄에는 초기에 편집기에 입력되어 있는 문자열이 주어진다. 이 문자열은 길이가 N이고, 영어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길이는 100,000을 넘지 않는다. 둘째 줄에는 입력할 명령어의 개수
www.acmicpc.net
한 줄로 된 간단한 에디터를 구현하려고 한다. 이 편집기는 영어 소문자만을 기록할 수 있는 편집기로, 최대 600,000글자까지 입력할 수 있다.
이 편집기에는 '커서'라는 것이 있는데, 커서는 문장의 맨 앞(첫 번째 문자의 왼쪽), 문장의 맨 뒤(마지막 문자의 오른쪽), 또는 문장 중간 임의의 곳(모든 연속된 두 문자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길이가 L인 문자열이 현재 편집기에 입력되어 있으면, 커서가 위치할 수 있는 곳은 L+1가지 경우가 있다.
이 편집기가 지원하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L 커서를 왼쪽으로 한 칸 옮김 (커서가 문장의 맨 앞이면 무시됨) D 커서를 오른쪽으로 한 칸 옮김 (커서가 문장의 맨 뒤이면 무시됨) B 커서 왼쪽에 있는 문자를 삭제함 (커서가 문장의 맨 앞이면 무시됨)
삭제로 인해 커서는 한 칸 왼쪽으로 이동한 것처럼 나타나지만, 실제로 커서의 오른쪽에 있던 문자는 그대로임P $ $라는 문자를 커서 왼쪽에 추가함 초기에 편집기에 입력되어 있는 문자열이 주어지고, 그 이후 입력한 명령어가 차례로 주어졌을 때, 모든 명령어를 수행하고 난 후 편집기에 입력되어 있는 문자열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단, 명령어가 수행되기 전에 커서는 문장의 맨 뒤에 위치하고 있다고 한다.
1. 문제 분석
문제풀이의 핵심은 커서의 동작 방식입니다.
모든 동작은 커서와 커서의 양쪽에 인접해 있는 원소들에서 대해서만 영향을 줍니다.
때문에 자료구조 중 한쪽 방향만을 사용하여 삽입/제거가 되는 자료구조 "스택"을 활용하면 풀이할 수 있습니다. 커서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한 문자열을 담는 스택, 우측에 위치한 문자열을 담는 스택 이렇게 두 개를 사용합니다.
2. 솔루션
const fs = require('fs');
const [sentence, countOfCommandString, ...commands] = fs.readFileSync(process.platform ===
'linux' ? '/dev/stdin' : 'input.txt')
.toString().split('\n')
.map(s => s.trim());
const groupOfCommand = commands;
// 초기 커서는 가장 오른쪽에 위치 하므로 입력 데이터 왼쪽 스택으로 초기화
const left = [...sentence];
// 비어있는 오른쪽 스택
const right = [];
for (const commandSet of groupOfCommand) {
const [command, param] = commandSet.split(' ')
switch (command) {
case 'L':
// 'L' 입력 시 왼쪽 데이터 원소 1개 오른쪽 스택 으로 이동
if (left.length > 0) right.push(left.pop());
break;
case 'B':
// 'B' 입력 시 왼쪽 데이터 원소 1개 제거
if (left.length > 0) left.pop();
break;
case 'D':
// 'D' 입력 시 오른쪽 데이터 원소 1개 왼쪽 스택 으로 이동
if (right.length > 0) left.push(right.pop());
break;
case 'P':
// 'P' 입력 시 데이터 원소 1개 왼쪽 스택 으로 삽입
left.push(param);
break;
default:
break;
}
}
// 오른쪽 스택은 역순으로 쌓여있기에 reverse() 를 통해 반전
console.log(left.join('') + right.reverse().join(''))
3. 마무리
자료구조를 스택으로 쓴다는 점만 떠올릴 수 있다면 어렵지 않은 문제입니다.
문제에서 오직 입출력은 한쪽 방향을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점을 발견하고 스택을 떠올려보면 문제 풀이에 힌트를 얻을 수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알고리즘-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 6588. 골드바흐의 추측 (1) | 2023.03.15 |
---|---|
[boj] 1158. 요세푸스 문제 (0) | 2023.03.13 |
[boj] 1874. 스택 수열 (0) | 2023.03.06 |
[boj] 9012. 괄호 (1) | 2023.03.04 |
[boj] 9093. 단어 뒤집기 (0) | 2023.03.02 |